여성역량
전쟁에서
살아남은 여성들의 목소리
2025.03.07
3월 8일은 유엔이 공식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입니다. 하지만 지금도 전 세계 수많은 여성들이 전쟁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폭력의 위험이 도사리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위태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레바논 전쟁 상황 속 난민 여성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았습니다.
레바논 북부 대피소에서 지내는 난민 여성 ⓒ Jean Hatem/Oxfam
전쟁에서 살아남은 여성들
레바논 북부의 임시 대피소 ⓒ Jean Hatem/Oxfam
레바논의 공중보건 전문가 라라 아비 자우데Lara Abi Jaoude는 레바논 난민 여성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매일 마주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온 한 여성은 아이에게 모유 수유를 하던 중 전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아이를 품에 안고 급히 피란길에 올라야 했던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전하며 이 모든 것이 엄마로서 감당하기 버겁고 힘들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울 때마다 엄마로서 실패한 기분이 듭니다.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것인지...
딸에게 원하는 것을 하나도 줄 수 없는 내 자신이 너무 무력하게 느껴져요.”
레바논 난민 여성
전쟁은 사랑하는 가족과 터전뿐 아니라 여성들의 건강마저 앗아가고 있습니다. 열악한 위생 상태와 영양 부족으로 인해 감염에 취약하고 빈혈 위험 또한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특히 전쟁과 실향을 겪고 있는 산모들에게는 조기 진통 증상이 나타나거나 조산의 위험이 우려되는 급박한 상황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
대피소로 피신한 엄마와 딸
이스라엘의 공습을 피해 피신한 난민 여성 ⓒ Jean Hatem/Oxfam
이스라엘의 대규모 공습을 피해 레바논 북부 트리폴리Tripoli로 피신한 리와Riwa는 20여 명의 가족과 함께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베이루트 교외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던 중 갑작스럽게 벌어진 공습으로 딸아이와 급히 대피소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이제 11살이 된 그의 딸은 학교로 돌아갈 날 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폭격을 당해 폐허가 되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학교가 문을 열어도 돌아갈 집이 없을 수도 있는 모든 것이 불안한 상황. 언제 다시 돌아갈 수 있을지도 기약할 수 없는 지금의 상황이 답답할 따름입니다.
“우리는 정말 두려워요.
이스라엘이 또다시 학교를 폭격할까 정말 두렵습니다.”
레바논 난민 여성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 임산부
전쟁으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곳에서 출산해야 하는 여성 ⓒ Christian Harb/Oxfam
전쟁과 분쟁 상황 속에서 여성, 특히 임산부는 가장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레바논 공습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분쟁 지역에서 난민 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지속적으로 건강 상태를 살펴야 하는 임산부는 전쟁으로 인해 병원에 갈 수 없거나 담당 의사가 자주 바뀌어 혼란을 겪기도 합니다. 대피소에 있는 임산부들은 열악한 환경과 사생활 노출 등으로 적절한 관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옥스팜은 레바논 전역 24개 대피소의 난민 여성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생식 건강을 위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방법부터, 폭력 피해 여성들의 심리 상담과 예방 교육 등 여성들이 열악한 상황 가운데도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하게 살아갈 날을 꿈꾸며
대피소 상태를 살펴보고 있는 옥스팜 활동가 ⓒ Jean Hatem/Oxfam
지난 1월 19일, 6주간의 효력을 갖는 1단계 휴전안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폭격은 중단되었지만 휴전 연장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전쟁이 끝나더라도 일상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들은 수많은 도전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긴박한 전쟁 상황 속 가장 취약한 여성들의 안전을 위해 옥스팜의 활동은 계속됩니다.
전 세계 가장 취약한 구호 현장 속 여성들의 안전을 위해
옥스팜의 활동에 함께해 주세요.
* 소중한 후원금은 전 세계 긴급구호 및
자립을 위한 생계지원 활동 등에 사용됩니다.
여성역량
전쟁에서
살아남은 여성들의 목소리
2025.03.07
3월 8일은 유엔이 공식 지정한 ‘세계 여성의 날International Women’s Day ’입니다. 하지만 지금도 전 세계 수많은 여성들이 전쟁으로 인해 고향을 떠나, 폭력의 위험이 도사리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 위태롭게 살아가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를 누리지 못하는 레바논 전쟁 상황 속 난민 여성들의 목소리를 들어보았습니다.
레바논 북부 대피소에서 지내는 난민 여성 ⓒ Jean Hatem/Oxfam
전쟁에서 살아남은 여성들
레바논 북부의 임시 대피소 ⓒ Jean Hatem/Oxfam
레바논의 공중보건 전문가 라라 아비 자우데Lara Abi Jaoude는 레바논 난민 여성들의 안타까운 현실을 매일 마주하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온 한 여성은 아이에게 모유 수유를 하던 중 전쟁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는 아이를 품에 안고 급히 피란길에 올라야 했던 긴박했던 당시 상황을 전하며 이 모든 것이 엄마로서 감당하기 버겁고 힘들다고 말합니다.
“아이가 울 때마다 엄마로서 실패한 기분이 듭니다. 내가 지금 잘하고 있는 것인지...
딸에게 원하는 것을 하나도 줄 수 없는 내 자신이 너무 무력하게 느껴져요.”
레바논 난민 여성
전쟁은 사랑하는 가족과 터전뿐 아니라 여성들의 건강마저 앗아가고 있습니다. 열악한 위생 상태와 영양 부족으로 인해 감염에 취약하고 빈혈 위험 또한 높아지기 때문인데요. 특히 전쟁과 실향을 겪고 있는 산모들에게는 조기 진통 증상이 나타나거나 조산의 위험이 우려되는 급박한 상황이 더 자주 발생합니다.
대피소로 피신한 엄마와 딸
이스라엘의 공습을 피해 피신한 난민 여성 ⓒ Jean Hatem/Oxfam
이스라엘의 대규모 공습을 피해 레바논 북부 트리폴리Tripoli로 피신한 리와Riwa는 20여 명의 가족과 함께 대피소에서 지내고 있습니다. 베이루트 교외에 있는 가족을 방문하던 중 갑작스럽게 벌어진 공습으로 딸아이와 급히 대피소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는데요. 이제 11살이 된 그의 딸은 학교로 돌아갈 날 만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학교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폭격을 당해 폐허가 되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학교가 문을 열어도 돌아갈 집이 없을 수도 있는 모든 것이 불안한 상황. 언제 다시 돌아갈 수 있을지도 기약할 수 없는 지금의 상황이 답답할 따름입니다.
“우리는 정말 두려워요.
이스라엘이 또다시 학교를 폭격할까 정말 두렵습니다.”
레바논 난민 여성
전쟁의 가장 큰 피해자... 임산부
전쟁으로 안전이 담보되지 않은 곳에서 출산해야 하는 여성 ⓒ Christian Harb/Oxfam
전쟁과 분쟁 상황 속에서 여성, 특히 임산부는 가장 큰 어려움을 겪습니다. 레바논 공습뿐 아니라 전 세계 모든 분쟁 지역에서 난민 여성이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지속적으로 건강 상태를 살펴야 하는 임산부는 전쟁으로 인해 병원에 갈 수 없거나 담당 의사가 자주 바뀌어 혼란을 겪기도 합니다. 대피소에 있는 임산부들은 열악한 환경과 사생활 노출 등으로 적절한 관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옥스팜은 레바논 전역 24개 대피소의 난민 여성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성·생식 건강을 위해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는 방법부터, 폭력 피해 여성들의 심리 상담과 예방 교육 등 여성들이 열악한 상황 가운데도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모두가 안전하게 살아갈 날을 꿈꾸며
대피소 상태를 살펴보고 있는 옥스팜 활동가 ⓒ Jean Hatem/Oxfam
지난 1월 19일, 6주간의 효력을 갖는 1단계 휴전안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폭격은 중단되었지만 휴전 연장 협상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전쟁이 끝나더라도 일상을 회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인 여성들은 수많은 도전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긴박한 전쟁 상황 속 가장 취약한 여성들의 안전을 위해 옥스팜의 활동은 계속됩니다.
전 세계 가장 취약한 구호 현장 속 여성들의 안전을 위해
옥스팜의 활동에 함께해 주세요.
* 소중한 후원금은 전 세계 긴급구호 및
자립을 위한 생계지원 활동 등에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