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하신 TAG "is_tag" 관련 43개의 정보가 검색되었습니다 위험한 지연 2: 무대응으로 인한 희생 2022년, 전 세계적으로 1억 8,100만 명이 위기 수준의 기아를 겪을 것으로 예측된다. 옥스팜과 세이브더칠드런은 에티오피아, 케냐, 소말리아 전역에서 분쟁, 코로나19, 기후위기, 그리고 현재 우크라이나 분쟁으로 가속화된 인플레이션 및 시장 상황으로 인해 평균 48초마다 한 명이 사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근을 막기 위.. 옥스팜-코이카, 방글라데시 중북부 지역서 ‘재난위험 경감사업’ 착수 옥스팜-코이카, 방글라데시 중북부 지역서 ‘재난위험 경감사업’ 착수 - 2023년 12월까지 방글라데시 시라지간 지구에서 식수 및 위생시설 65개 설치 예정 - 홍수 취약 지역 6천여 명 대상으로 통합적 예방·대응체계 구축 및 지역사회 역량강화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코리아(대표 지경영)가 한국국제협력단.. 옥스팜코리아, 인제군과 ‘옥스팜 트레일워커’ 업무협약 체결 “가난이 없는 공정한 세상을 위해 함께 걸어요!” 옥스팜코리아, 인제군과 ‘옥스팜 트레일워커’ 업무협약 체결 - 3월 30일 가난 없는 공정한 세상을 향한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5년간 협력 약속 - 오는 6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인제군 일대에서 ‘옥스팜 트레일워커’ 개최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 옥스팜코리아, 이하늬와 함께하는 언택트 기부 캠페인 ‘2022 옥스팜워크’ 진행 “여성과 소녀를 위해 ‘옥스팜워크’ 함께 걸어요!” 옥스팜코리아, 이하늬와 함께하는 언택트 기부 캠페인 ‘2022 옥스팜워크’ 진행 - 전 세계 빈곤 여성들의 식수를 위한 ‘생존의 거리’를 간접 체험하며 희망을 전하는 기부 걷기 -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에 맞춰 참가자 모집 시작… 5, 7, 10km 중 원하는 걸음만큼 신청 가능.. [2022 옥스팜워크] 여성과 소녀를 위해 올해도 함께 걸으실래요? “깨끗한 물이 없는 삶, 상상해 보셨나요?” © Engin Akyurt/pixabay 따뜻한 커피 한 잔, 깨끗하게 세탁한 옷, 김이 모락모락 나는 한 끼의 밥상까지, 깨끗한 물은 일상 곳곳에서 우리의 삶을 가득 채우고 있습니다. 2019년 환경부 통계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민 1인당 하루 수돗물 사용량은 무려 295L, 2L 물.. 전 세계 99% 소득은 줄고, 세계 10대 부자들의 자산은 2배로 증가 코로나 팬데믹 장기화로 ‘죽음을 부르는 불평등’ 심화 전 세계 99% 소득은 줄고, 세계 10대 부자들의 자산은 2배로 증가 - 옥스팜, ‘다보스 어젠다 주간’에 맞춰 ‘죽음을 부르는 불평등(Inequality Kills)’ 보고서 발표- 4초마다 1명씩 죽는 반면, 26시간마다 새로운 억만장자가 탄생하는 극단적 부의 불평등 초래 .. 2021년 12월 긴급구호 헤드라인 코로나19 발생 2년, 긴급구호 활동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20-2021 옥스팜 긴급구호 활동 현황(© Oxfam America) 2020년 3월부터 옥스팜은 코로나19로 인한 이동 제한과 감염 위험 등으로 위험에 노출된 취약계층을 돕기 위해 694개 현지 파트너와 함께 일하고 있습니다. 옥스팜은 코로나19로부터 가장 취약한 전 세.. 코로나19 속 남수단의 ‘삶을 위한 교육’ 이야기 코로나19로 학교가 봉쇄되면서 전 세계 수많은 아동과 청소년 교육은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에는 남수단의 아이들도 학교를 다니며 미래를 꿈꿀 수 있었는데요.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학교는 1년 넘게 문을 닫았고, 학교 밖으로 내몰린 학생들은 조혼과 임신 등으로 학업을 더 이상 이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 아프가니스탄 다이쿤디에 찾아온 자립의 기회, 옥스팜의 똑똑한 솔루션 BRL 프로그램을 통해 복구된 다이쿤디 경작지(MediaPoint ©Oxfam) 아프가니스탄 다이쿤디 지역 주민들은 대부분이 농업으로 생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역 기반시설이 열악할 뿐 아니라 농작물을 판매할 수 있는 시장 또한 차로 30분 거리에 떨어져 있어 농작물을 좋은 값에 판매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는데요. 지난 2015년 1.. 환경도 살리고, 취약계층도 살리는 요르단 그린잡 프로젝트 코로나19 이후 일회용품과 택배 이용량이 급증하면서 쓰레기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쓰레기는 요르단에서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난민캠프 주변으로 쓰레기가 쌓이게 되었고, 폐기물 시스템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아 이곳저곳에 방치되어 난민캠프의 또 다른 골칫거리가 되었습니다..